1. 대회개요
- 휴머노이드 격투 :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최종 시간까지 생존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8kg 미만 / Motor Torque 18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미션 : 주어진 시간동안 공을 골대에 넣어 점수를 많이 획득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8kg 미만 / Motor Torque 18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미션 :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제한시간 내에 미션물을 지정 구역에 이동시켜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8kg 미만 / Motor Torque 18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AI스프린트 : 휴머노이드 로봇을 사용하여 색상을 인식해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하며 시간을 측정하는 기록 측정 경기
2. 참가대상
- 고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스프린트 :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하며 시간을 측정하는 기록 측정 경기
2. 참가대상
- 고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1학년~초등3학년
- 워리어급 : 초등4학년~초등6학년
2. 대회규정
-로봇규정 (챌린저, 워리어 공통)
1) 로봇의 형태는 로봇 규격에 벗어나지 않는 크기에서 형태, 제한 없이 대회 당일 대회장에서 제작
2) 참가자는 제한시간(워리어급 1시간, 챌린저급 2시간) 내에 조립과 테스트를 완료하여 심사위원에게 로봇을 제출해야
하며, 한번 제출된 로봇은 대회 시작 전까지 손댈 수 없다.(제한시간까지 제출하지 못하는 로봇은 실격 처리)
- 경기규정(챌린저부문)
1) 주어진 시간(2분) 내에 로봇을 조종하여 경기장 위에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미션을 수행하고 END존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2) 미션 - 그림와 같이(그림1) 과녁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색깔의 미션물을 과녁판에 색깔별로 각자 옮겨야 한다.
미션물은 해당 색깔지역에 절반 이상 들어가야 인정된다.
(예시) 빨간색 미션물 -> 빨간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 노란색 미션물 -> 노란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3)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심판이 미션물을 원위치 시키고 별도의 감점을 부여한다.
감점요인 :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10초 장애물을 넘어트린 경우 장애물 1개당 +3초
4) 미션 수행을 모두 완료한 후 END존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심판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 규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림1>
※해당 그림은 예시 이미지이며 미션물 및 장애물 위치는 경기 당일 공개한다.
- 경기규정(워리어부문)
1) 주어진 시간(2분) 내에 로봇을 조종하여 경기장 위에 설치된 장애 물을 피해 미션을 수행하고 END존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2) 미션 - 그림와 같이(그림1) 과녁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색깔의 미션물을 과녁판에 색깔별로 각자 옮겨야 한다.
미션물은 해당 색깔지역에 절반 이상 들어가야 인정된다.
(예시) 빨간색 미션물 -> 빨간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 노란색 미션물 -> 노란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3)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심판이 미션물을 원위치 시키고 별도의 감점을 부여한다.
감점요인 :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10초 장애물을 넘어트린 경우 장애물 1개당 +3초
4) 미션 수행을 모두 완료한 후 END존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심판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 규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림2>
※해당 그림은 예시 이미지이며 미션물 및 장애물 위치는 경기 당일 공개한다.
1. 대회개요
- 가족참여 경진대회 : 대회 당일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교구를 가족과 팀을 이뤄 제작하는 가족참여형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챌린저 급 : 2인 1팀 (만7세~만9세(초등1학년~초등3학년 연령) 1명 + 가족(보호자) 1명)
- 워리어 급 : 2인 1팀 (만10세~만12세(초등4학년~초등6학년 연령) 1명 + 가족(보호자) 1명)
3. 대회내용 (챌린저 부문)
- 로봇규정
1) 주최 측에서 제공되는 교구만 사용 가능
※ 제공된 교구에 들어있는 부품만 사용하며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2) 사용되는 건전지는 AA건전지이며 대회 당일 4개씩 지급한다.
(교구에 사용되는 건전지 필요수량은 2개이며 4개 이상 필요할 경우 별도로 준비한다.)
- 경기규정
1) 정해진 시간(2시간) 내에 교구를 조립 및 연습을 진행한다. (설명서 존재)
2)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1경기에 4명씩 진행한다.
3) 경기가 시작되면 로봇을 조종하여 상대의 로봇을 쓰러트리며, 쓰러지지 않은 한 명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4) 경기 일정중 심판의 판단으로 패자부활전이 진행될 수 있다.
5) 이 외 규정되지 아니한 상황에 경우 심판의 판단을 우선한다.
4. 대회내용 (워리어 부문)
- 로봇규정
1) 주최 측에서 제공되는 교구만 사용 가능
※ 제공된 교구에 들어있는 부품만 사용하며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2) 사용되는 건전지는 AA건전지이며 대회 당일 8개씩 지급한다.
(교구에 사용되는 건전지 필요수량은 4개이며 8개 이상 필요할 경우 별도로 준비한다.)
- 경기규정
1) 정해진 시간(2시간) 내에 미션을 진행할 수 있는 로봇을 직접 제작한다.
2) 별도의 설명서는 없으며 당일 대회에 부합하는 로봇을 가족과 함께 직접 제작한다.
3) 정해진 제작시간(2시간) 내에 연습도 가능하다.
4)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1경기에 4명씩 진행한다.(경기 당일 참가자 팀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5) 정해진 시간(2분) 내에 미션물을 안전구역으로 옮긴 후 START존으로 먼저 들어오는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로봇의 신체중 절반 이상이 START존으로 들어와야 인정하며 판단은 심판이 한다.)
5) 이 외 규정되지 아니한 상황에 경우 심판의 판단을 우선한다.
1. 대회개요
- 자율 주행 자동차 : 주어진 트랙에서 자율주행으로 완주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전국 대학생 (5인이하 1팀 / 개인 참가 가능)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자동차 형태의 RC카 또는 자작 RC카
2) 라인 검출에는 카메라 센서 필수 (광센서는 불가, 그 외는 자유)
3) 자동차 섀시: 섀시: 1:10 스케일 차량으로 나열된 모든 섀시가 허용
예) Traxxas사의 1:10 자동차(TRA74054, TRA6804R, TRA68086)이지만 일반적으로 비슷한 치수의 모든 섀시가 허용(4WD, 2WD 모두 허용)
4) 주 컴퓨팅 장치: Nvidia Jetson Xavier NX, Nvidia Jetson NX와 동급
(예: Nvidia Jetson TX2, Nvidia Jetson Nano) 또는 GPU 및 CPU 사양이 같거나 낮은 모든 것은 모두 허용
5) LiDAR: Hokuyo UST-10LX, i동급 또는 그보다 낮은 사양의 모든 라이다를 허용(감지 범위(10m), 스캔 주파수(40Hz) 및 각도 분해능(0.25°)
6) 카메라: 모노 카메라(예: Logitech C270, Logitech C920, Raspberry Pi Camera Module V2, Arducam) 및 스테레오 카메라
(예: Intel Realsense, ZED) 모두 허용
7) 구동계: 브러시리스 DC 모터만 허용( Velineon 3500 kV, 동급 또는 전력 및 토크에 관한 더 낮은 사양의 모든 것을 허용)
8) 기타 센서: 기타 센서(IMU, 인코더, 맞춤형 전자 속도 컨트롤러)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내 GPS센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9) 경주를 위해 내부 연산력을 빠르게 하는 부품은 금지한다.
- 차량 점검
1) 차량 점검은 대회 당일 오전에 심판이 직접 진행
2) 차량 점검은 타임 트라이얼 이전과 자동차 하드웨어 또는 알고리즘에 대한 중대한 변경 후에 완료되어야 함.
-경기규정 (타임 트라이얼)
1) 지정된 트랙에서 최대한 빠르게 주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도전기회는 총 2번 주어지며, 그 중 가장 빠른 기록을 최종기록으로 한다.
3) 최종 점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첫째, 가장 ᄈᆞ른 기록 순위에 따라 점수를 받는다.
(예 : 10개 팀 중 1위는 10점을 받고, 2등은 9점, 3등은 8점을 받는다.)둘째, 연속된 연속 랩 횟수에 따라 각 팀의 순위가 생성되므로 각 팀은 점수를 받는다.
(예 : 10개의 팀중 가장 많은 바퀴를 돈 팀은 10점을 받고, 두번째로 많은 바퀴를 돈 팀은 9점, 세번째로 많은 바퀴를 돈 팀은 8점을 받는다.)
두 점수의 합으로 최종순위를 정한다.
-경기장
*전날 현장에서 공개한다.
1. 대회개요
- 4족보행로봇 경진대회 : 4족보행로봇을 활용하여 주어진 트랙을 자 경주하는 종목
2. 참가대상
- 대상 : 고등학생 ~ 대학생 / 4인 이하 1팀(개인 참가 가능)
- 참가인원 : 10팀
3. 대회규정
1) 4족보행형태의 로봇으로 참가한다.
2) 반드시 4개의 다리로 구성되어야 하며 바퀴형태는 참가할 수 없다.
3) 로봇의 크기는 가로 (85cm이하) / 폭 (50cm 이하)를 준수
4) 배터리의 경우 제한은 없으나 로봇 내장형으로 참가한다.
5) 사용되는 모든 센서는 로봇에 내장 또는 고정 되어야 하며, 로봇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6) 로봇제어는 자율주행 또는 수동주행 등 별도에 제한이 없으나 자율주행시 별도의 가점이 있다.
*자율주행 : 로봇은 완전히 자율적으로 동작해야 하며, 온보드 센서 및 컴퓨팅 시스템만 사용대회장 내 네트워크 혼선으로 인한 유선 랜선의 사용은 허용
*원격조종 : 운영측에서 준비된 공간에서 조종자는 팀의 원격 조종 콘솔에 머물러야 하며, 오직 로봇의 온보드 센서에서 획득한 정보만 사용외부에서 원격 조종 콘솔에 추가 정보를 제공 금지
-경기내용
1) 경기 시작과 동시에 미션물(5~10개 내외)을 제공하며 미션물을 도착지점까지 이동시키는 경기
2) 경기장 내에 다양한 장애물들이 있으며 점프, 멈춤 회피 기동 등을 통해 장애물을 통과한다.
3) 장애물 지역의 경우 반드시 통과해야 하며 구역 이탈시 자동으로 탈락된다.
4) 도착지점까지 도착시 미션물 회수 개수와 도착 기록측정을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바구니 부착(예시)>
<트랙과 구간 구성 (예시) >
1. 대회개요
- 현장체험 경진대회 :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현장체험형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무제한 : 연령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가능
온라인 사전신청, 당일 현장신청 둘 다 가능 / 현장에서 신청접수는 가능하나 참가인원의 모집이 완료될 시 신청불가
- 참가인원 : 350명
3. 대회내용
- 경기내용
1) 주최 측에서 준비한 구동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진행하는 경기이다.
2) 조종로봇은 미션물을 해당 미션물 처리지역으로 이동시키는 경기이다.
3) 경기 시간은 2분이며 모든 미션물을 처리하고 END지역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4) 그 외 규정되지 않고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은 대회 심사위원 판단을 우선시하며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1. 대회개요
- 현장체험 경진대회 :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코딩드론을 활용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무제한 : 연령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가능
온라인 사전신청, 당일 현장신청 둘 다 가능 / 현장에서 신청접수는 가능하나 참가인원의 모집이 완료될 시 신청불가
- 참가인원 : 350명
3. 대회내용
- 경기내용
1) 주최 측에서 준비한 코딩드론을 활용하여 미션을 진행하는 경기
2) 주최 측에서 준비한 노트북에 설치된 코딩프로그램으로 드론을 직접 코딩하여 자율주행을 진행하는 경기
3) 코딩하는 방법 및 조종법은 현장에 배치된 심판 또는 운영요원이 안내한다.
5) 현장에는 코딩미션용 드론과 조종미션용 드론이 배치되며, 자율주행 미션을 성공 후 조종미션을 진행한다.
6) 미션을 빠르게 완료한 기록으로 순위를 정한다.
7) 대회 결과는 대회 후 홈페이지 또는 수상자 대상으로 별도 연락을 진행한다.
1. 대회개요
- 배틀로얄: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최종 시간까지 생존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6kg 미만 / Motor Torque 12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미션 : 주어진 시간동안 공을 골대에 넣어 점수를 많이 획득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6kg 미만 / Motor Torque 12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미션 :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제한시간 내에 미션물을 지정 구역에 이동시켜 점수를 획득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6kg 미만 / Motor Torque 12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대회개요
- 달리기 :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하며 시간을 측정하는 기록 측정 경기
2.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고등학생(로봇의 무게 1.6kg 미만 / Motor Torque 12kg 이하)
- 워리어급 : 초등~대학생(로봇의 무게 2.8kg 미만 / Motor Torque 30kg 이하)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로봇은 사전 제작하여 참가한다.
2) 2족 보행 로봇으로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양팔의 길이(그리퍼 포함)는 양팔을 최대한 벌린 상태를 말한다.
- 그림2의 팔 길이의 비율은 1:1로 한다.
4) 다리 길이는 다리부분의 가장 위에 있는 전후로 움직이는 축에서부터 발바닥까지의 길이를 말한다.(그림1 참고)
5) 로봇이 직립한 형태에서 두 발의 교차는 허용되지 않는다.
6) 휴머노이드 로봇에 그리퍼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리퍼의 규정은 아래와 같다.
- 그리퍼 폭 : 10cm 이하 (그림2 참고)
- 그리퍼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접착성 물건, 제품을 장착할 수 없다.
(단 스펀지, 압축스펀지 등 미션물을 잡기 위한 접착성이 없는 것은 장착할 수 있다.)
7) 규격심사를 완료한 로봇구조의 추가, 제거, 교환, 변경 등을 할 수 없다.(적발시 자동탈락)
-로봇제원
1. 참가대상
- 챌린저급 : 초등학교 1학년 ~ 3학년
- 워리어급 : 초등학교 4학년 ~ 6학년
2. 대회규정
-로봇규정 (챌린저, 워리어 공통)
1) 로봇의 형태는 로봇 규격에 벗어나지 않는 크기에서 형태, 제한 없이 대회 당일 대회장에서 제작
2) 참가자는 제한시간(워리어급 1시간, 챌린저급 2시간) 내에 조립과 테스트를 완료하여 심사위원에게 로봇을 제출해야
하며, 한번 제출된 로봇은 대회 시작 전까지 손댈 수 없다.(제한시간까지 제출하지 못하는 로봇은 실격 처리)
- 경기규정(챌린저부문)
1) 주어진 시간(2분) 내에 로봇을 조종하여 경기장 위에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미션을 수행하고 END존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2) 미션 - 그림와 같이(그림1) 과녁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색깔의 미션물을 과녁판에 색깔별로 각자 옮겨야 한다.
미션물은 해당 색깔지역에 절반 이상 들어가야 인정된다.
(예시) 빨간색 미션물 -> 빨간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 노란색 미션물 -> 노란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3)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심판이 미션물을 원위치 시키고 별도의 감점을 부여한다.
감점요인 :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10초 장애물을 넘어트린 경우 장애물 1개당 +3초
4) 미션 수행을 모두 완료한 후 END존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심판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 규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림1>
※해당 그림은 예시 이미지이며 미션물 및
장애물 위치는 경기 당일 공개한다.
- 경기규정(워리어부문)
1) 주어진 시간(2분) 내에 로봇을 조종하여 경기장 위에 설치된 장애 물을 피해 미션을 수행하고 END존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2) 미션 - 그림와 같이(그림1) 과녁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4가지 색깔의 미션물을 과녁판에 색깔별로 각자 옮겨야 한다.
미션물은 해당 색깔지역에 절반 이상 들어가야 인정된다.
(예시) 빨간색 미션물 -> 빨간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 노란색 미션물 -> 노란색 과녁판 지역으로 이동
3)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심판이 미션물을 원위치 시키고 별도의 감점을 부여한다.
감점요인 : 미션물이 경기장 밖으로 나갈 경우 +10초 장애물을 넘어트린 경우 장애물 1개당 +3초
4) 미션 수행을 모두 완료한 후 END존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심판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 규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림2>
※해당 그림은 예시 이미지이며 미션물 및 장애물 위치는 경기 당일 공개한다.
1. 대회개요
- 가족참여 경진대회 : 대회 당일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교구를 가족과 팀을 이뤄 제작하는 가족참여형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챌린저 급 : 2인 1팀 (초등학교 1-3학년 1명 + 가족(보호자) 1명)
- 워리어 급 : 2인 1팀 (초등학교 4-6학년 1명 + 가족(보호자) 1명)
3. 대회내용 (챌린저 부문)
- 로봇규정
1) 주최 측에서 제공되는 교구만 사용 가능
※ 제공된 교구에 들어있는 부품만 사용하며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2) 사용되는 건전지는 AA건전지이며 대회 당일 4개씩 지급한다.
(교구에 사용되는 건전지 필요수량은 2개이며 4개 이상 필요할 경우 별도로 준비한다.)
- 경기규정
1) 정해진 시간(2시간) 내에 교구를 조립 및 연습을 진행한다. (설명서 존재)
2)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1경기에 4명씩 진행한다.
3) 경기가 시작되면 로봇을 조종하여 상대의 로봇을 쓰러트리며, 쓰러지지 않은 한 명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4) 경기 일정중 심판의 판단으로 패자부활전이 진행될 수 있다.
5) 이 외 규정되지 아니한 상황에 경우 심판의 판단을 우선한다.
4. 대회내용 (워리어 부문)
- 로봇규정
1) 주최 측에서 제공되는 교구만 사용 가능
※ 제공된 교구에 들어있는 부품만 사용하며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2) 사용되는 건전지는 AA건전지이며 대회 당일 8개씩 지급한다.
(교구에 사용되는 건전지 필요수량은 4개이며 8개 이상 필요할 경우 별도로 준비한다.)
- 경기규정
1) 정해진 시간(2시간) 내에 미션을 진행할 수 있는 로봇을 직접 제작한다.
2) 별도의 설명서는 없으며 당일 대회에 부합하는 로봇을 가족과 함께 직접 제작한다.
3) 정해진 제작시간(2시간) 내에 연습도 가능하다.
4)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1경기에 4명씩 진행한다.(경기 당일 참가자 팀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5) 정해진 시간(2분) 내에 미션물을 안전구역으로 옮긴 후 START존으로 먼저 들어오는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로봇의 신체중 절반 이상이 START존으로 들어와야 인정하며 판단은 심판이 한다.)
5) 이 외 규정되지 아니한 상황에 경우 심판의 판단을 우선한다.
1. 대회개요
- 자율 주행 자동차 : 주어진 트랙에서 자율주행으로 완주하는 경기
2. 참가대상
- 전국 대학생(5인이하 1팀 / 개인 참가 가능)
3. 대회규정
- 로봇규정
1) 자동차 형태의 RC카 또는 자작 RC카
2) 라인 검출에는 카메라 센서 필수 (광센서는 불가, 그 외는 자유)
3) 자동차 바디의 크기는 35 * 45(cm)를 넘을 수 없다.
4) 배터리는 리튬이온 기준 3 cell 이하
5) Line은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 또는 흰색으로 20mm의 폭(오차2mm)으로 구성 되며 최소 곡률 반경은 800mm 이다.
- 경기규정
1) 2인 1팀 2회(1, 2차) 경기진행 한다.
2) 성적은 1차, 2차시기 기록을 합산한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3) 주행판정
- Line 검출 및 주행 미션 (10점 / 차선 이탈 1회시 –1점)
- 장애물 회피 구간 (10점 – 멈춤 3점, 회피 7점)
- 미로 주행 구간 (10점 – 벽 접촉시 회당 –1)
- 주행시간 (10점 – 20초 지연 마다 –1점)
1. 대회개요
- 4족 보행로봇 경진대회 : 4족보행로봇을 활용하여 다양한 미션을 완수하는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무제한 : 연령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가능 / 4인 이하 1팀(개인 참가 가능)
- 참가인원 : 5팀
3. 대회규정
1) 4족보행형태의 로봇으로 참가한다.
2) 반드시 4개의 다리로 구성되어야 하며 바퀴형태는 참가할 수 없다.
3) 배터리의 경우 제한은 없으나 로봇 내장형으로 참가해야한다.
4) 로봇제어는 자율주행 또는 수동주행 등 별도에 제한이 없다.
-경기내용
1) 경기 시작과 동시에 미션물(5~10개 내외)을 제공하며 미션물을 도착지점까지 이동시키는 경기
2) 경기장 내에 다양한 장애물들이 있으며 점프, 멈춤 회피 기동 등을 통해 장애물을 통과한다.
3) 장애물 지역의 경우 반드시 통과해야 하며 구역 이탈시 자동으로 탈락된다.
4) 도착지점까지 도착시 미션물 회수 개수와 도착 기록측정을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1. 대회개요
- 현장체험 경진대회 :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현장체험형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무제한 : 연령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가능 온라인 사전신청, 당일 현장신청 둘 다 가능 /
현장에서 신청접수는 가능하나 참가인원의 모집이 완료될 시 신청불가
- 참가인원 : 350명
3. 대회내용
- 경기내용
1) 주최 측에서 준비한 구동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진행하는 경기이다.
2) 조종로봇은 미션물을 해당 미션물 처리지역으로 이동시키는 경기이다.
3) 경기 시간은 2분이며 모든 미션물을 처리하고 END지역으로 도착하는 기록경기이다.
4) 그 외 규정되지 않고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은 대회 심사위원 판단을 우선시하며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1. 대회개요
- 현장체험 경진대회 : 주최측에서 제공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현장 체험형 경진대회
2. 참가대상
- 무제한 : 연령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가능 온라인 사전신청, 당일 현장신청 둘 다 가능 /
현장에서 신청접수는 가능하나 참가인원의 모집이 완료될 시 신청불가
- 참가인원 : 350명
3. 대회내용
- 경기내용
1) 주최 측에서 준비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종하여 미션을 진행하는 경기
2) 로봇을 조종하여 골프공을 포인트존에 넣는 경기
3) 경기 시간은 2분이며 골프공의 개수는 3개이다. (골프공의 위치는 경기 당일 랜덤하게 위치한다.)
5) 골프공이 완전히 점수 지역에 들어가야 점수로 인정한다.
6) 골프공이 경기장 이탈 시 사용할 수 없으며 1개의 골프공을 2번 이상 스윙할 수 없다.